Jihyun Jung
Demolition Site, Artist Statement

철거현장<Demolition Site> 철거 예정인 건물에 잠입하여 내부를 빨간색으로 칠한 뒤 촬영하고, 실제 철거가 이루어진 다음에 다시 들어가 빨간 페인트의 흔적을 찾았다. 건물이 철거되면서 점점 작은 덩어리로 쪼개지는 빨간 흔적들을 기록하며 결국 한 점의 콘크리트가 되어 사라지는 빨간 방의 운명을 추적했다. 개인의 공간인 빨간 방은 재개발이라는 체제 앞에서 무기력하게 사라진다. 나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금 우리가 사는 도시가 어떤 공간인지, 공동체 공간으로서의 도시가 어떻게 사라져 가는지 보여 줌으로써 맹목적으로 달려가는 도시화에 문제를 제기한다. 스펙터클한 철거 현장에서 개인 삶의 흔적이 존재하는 빨간 방을 찾는 과정은 도시를 삶의 공간으로 회복하고 재인식하는 작업이다. 지금은 완전히 사라진 인천 가정동 루원시티와 안양 덕천마을 철거 현장에서 작업했다.

I sneaked into a building that was scheduled to be torn down. Before I photographed them, I painted the inner walls into red. After the demolition I went in again, looking for traces of that red paint. By documenting the red walls that were broken down into smaller and smaller pieces as the building was destroyed, I chased after the fate of this red room that would, in the end, disappear into the void as an anonymous piece of concrete. The red room was a private space that dissolved when faced with a system of redevelopment. I reveal what kind of space the city we are living in is, and how the city as a place of community is vanishing. It is how I raise questions about the rash thoughtlessness of urbanization. Finding the red room where traces of an individual’s life still reside from within the spectacle of demolition is a work to recover and recognize the city as a place for living. The photographs were taken at the demolition sites of Lu 1 City in Gajeong-dong, Incheon, and Deokcheon maeul, Anyang. Neither site exists today.

Construction Site Dreg, Artist Statement

공사가 이루어지고 난 뒤에 남은 잔여물들을 수집하고 촬영하였다. 잔여물들은 모두 건축물이 완공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일정 부분 기능하였지만 완공과 동시에 기능성을 잃어버리고 폐기된다. 이들은 잔여물로서의 형태를 일정기간 유지한 뒤, 다시 재 분류 및 가공되어 또 다른 기능을 위한 새것이 된다. 나는 바로 그 순간 그 잔여물들이 생명력을 얻고 완벽한 객체로 탄생된다고 생각한다. 건축에 사용되는 자재들은 나름의 기능을 가지며, 대부분 건축물을 구성하는 부분이 된다. 하지만 그 일부가 잔여물이 되어 폐기, 분류되고 또다시 새로운 자재들로 탄생하는 순환구조는 도시의 순환과 닮아있다. 기능주의가 미리 예측하지 못하고 만들어낸 이들 잔여물은 쓰레기가 아닌 자유로운 형태를 갖고 있는 ‘기능주의의 오브제’라 생각한다.

Building materials have their own function and they usually remain as part of the building. However, sometimes the materials are disposed, re-classified and then recycled as new materials. These remnants from the construction sites have become a good subject for my photography. Although the residues were partly functioning until the architecture is completed, they are disposed upon completion of construction, losing their functionalities and then are re-classified as a different object. However, I think this is the moment of rebirth to integral perfection. Remnants are the result of unforeseen calculation of functionalism but I consider them not as garbage, but as objects of functionalism without any fixed formats.

Red room, Artist Statement

재건축현장 <Reconstruction Site> 철거현장<Demolition Site> <Red room>라는 설치작업으로 발전시켜 작업하고 있다. <Red room> 철거로 인해 외부로 드러난 빨간색 공간의 일부를 확대하여 대형 실사 프린트로 출력해 의도적으로 만든 암실 또는 외부 공간 벽면에 실재 철거현장의 공간만큼 큰 사이즈로 부착하는 방식의 사진 설치작업이다. 이와 같은 설치작업을 통해 재건축현장<Reconstruction Site> 철거현장<Demolition Site> 작업하는 과정에서 빨간색 페인트의 흔적을 발견하는 순간을 전시 공간에 재현하고자 했다. 또한 설치라는 보여주기 방식을 통해 정해진 사이즈, 액자로 전시되는 일반적인 사진작업의 보여주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해보고자 했다. <Red room> 2014년 단체전 『제36회 중앙미술대전 선정작가전, 예술의 전당』과 2015년 『콘택트 포토 페스티벌, 토론토』에서 선보인바 있고 앞으로도 국내외의 사진 설치 전시 위주의 포토페스티벌 등의 지원을 통해 작업을 이어나갈 예정이다.

<Red room>started with printing out a part of the red room, which was exposed outside because of the demolition. I filled the wall of an exhibition space in the dark room I intentionally made with the print. Then I installed spot lamps there and made them light up the red traces. I wanted to reenact the moment I discover the red traces. Also, by choosing installation as my display style, I tried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traditional display style of photos, where all the photos are exhibited in regular sized-frames.

The darkside, Artist Statement

<The dark side 01-04> 북한과 인접한 백령도를 비롯한 서해5도의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는 군사지역을 촬영한 것이다.

백령도의 잔존 군사시설물은 한국전쟁 휴전 이후 직접적으로 활용된 사례가 없다. 때문에 군사시설물은 60년 동안 지속된 대치상태를 함의하면서도, 역으로 잠정적인 평화를 상징하는 양가적 대상이 되었다.

<The dark side> 이러한 군사시설물 위에 프로젝트를 영사하여 촬영한 평면 이미지 작업이다. 주간에 촬영한 군사시설물을 동일한 구도에서 영사하여 시간적인 배경이 다른 두 개의 이미지가 중첩된다. 이 때 주간에 촬영한 즉, 프로젝터로 영사하는 이미지는 수작업-포토샵을 통해 군사 시설물을 제거했다. 따라서 영사된 이미지에서 군사시설물은 그것이 거기 있다는 걸 알아보기 힘들 만큼 숨어 있다.

<The dark side 01-04>is about military zones such as Baengnyeongdo (island) and 5 islands in the West Sea where civilian access is prohibited. Residual military facilities have never been directly used since Korean War. Thus these military facilities became double targets symbolizing peace while they contain military confrontation that has been persistent for 60 years.

<The dark side> is a work of projected images on military facilities. 2 images of military facilities in different time of daytime are overlapped by projecting them in the same angle. In this case, the military facilities in the projected image taken during daytime are removed by Photoshop. Consequently military facilities in the projected image are hidden, so it is hard to recognize that they existed t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