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ejun Yun
회한의 무게 Weight of Remorseful, Artist Statement

나의 기억과 연관된 대상은 그 기억을 떠올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대상을 얼 음속에 얼리는 행위는 기억을 간직하려는 나의 욕망을 보여준다. 동시에 서서히 녹고있는 것은 영원히 간직할 수 없다는걸 알려준다.

이 작업을 처음 시작하게 된 계기는 키우던 개의 죽음이다. 가장 가 까운 대상의 죽음은 나에게 이상한 감정으로 다가왔다. 몇년동안 그죽음을 마주하지 않다 가, 그것을 무덤이라는 대상으로 마주했을때 느꼇던 감정은 새로웠다. 상실감도 아니고 슬 픈것도 아니였다. 다른 대상으로 변형된 그것을 마주했을때, 마치 기억을 다시 떠올리는 것 과 같은 느낌이었다.

나에게 기억이라는 것은 특정한 시점에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과거의 기억이 특정한 시간 에 머물러 있지 않고 흐르는 시간속에서 함께 움직인다고 생각한다. 기억은 하나의 특정한 시간과 때가 아니라 흐르는 시간속에서 함께 움직인다. 아주 사소한 기억들이 나의 주위에 살아있고 함께 있다. 특별한 사물, 또는 특정한 시간만이 의미 있는 것은 아니다. 잊혀진 것 들과 주위에 있는 것들 또한 나의 한 부분이다. 그것들은 언제나 나와 연관되어 있고 나를 이루는 하나의 개체와도 같다. 사진으로 찍히는 순간 이것들은 나의 새로운 추억과 기억이 된다. 또한 나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나를 확인시켜준다.

The objects that are related to my memor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minding it. The act of freezing represents my desire to preserve my memory. At the same time, ice that is slowly melting shows that it cannot be fully kept.

I started this work when my dog died. It was the first time for me to face the death of a being that was close to me. This gave me a strange emotion. I did not confront the death for several years. When I faced it through the grave, the feeling I had was different. It was not the sense of loss nor sadness. When I saw what was transformed into a different object, I felt like as if I was recalling my memory.

For me, memory does not exist in a specific time. The memory of the past does not stay still in the fixed time, but stays in the continuing time. It moves along the flowing time, not in specific time and moment. Trivial memories live near me. Special objects or specific time are not the only ones that are valuable. The forgotten things and the things near them make a part of me. They are always connected with me, and I am composed of them.

The moment when the objects are photographed by me, they become my new memory. They bear my history and they verify me.

꽃불 Flower flame, Artist Statement

지리산 실상사는 신라 흥덕왕 3년(828년) 때 증각대사(홍척(洪陟)국사)가 당나라에 유학했다가 귀국해서 세운 절이라고 전해진다. 홍척국사는 당나라에서 지장보살에게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배워 실상사를 창건했다. 홍척국사도 출가전에는 속세의 사람이었을 것이고, 어떠한 계기를 통해 출가하여 승려됬을 것이다. 지장보살에게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을 배운것은 어떠한 슬픔 혹은 마음의 아픔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홍척국사가 마음의 조각들을 실상사 경내에 숨겨놓고 간직했다고 가정하고 이를 찾아 나섰다.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작은 돌부터 기와조각, 편지, 깃털 등 마음의 조각과 유사한 대상을 선택하였다. 마음이라는 것은 눈에 보이지도 않고 만져지지도 않는다. 하지만 언제나 존재하며 태워버릴 수도 없애버릴 수도 없지만 거기에 가만히 있다는것은 분명하다. 태울 수 없지만 존재하는 것은 언제나 사람 속에 있다. 이것들은 마음 혹은 인연의 조각으로 치환 시킬 수 있을 것이다.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드러낼 수 없는 마음이라는 것을 태우려는 작은 봄부림이다.

Jirisan Silsang Temple was built by Hongcheok monk who are returning to the Tang Dynasty after studying at the JiJang Monk in the 3rd year of Shingdong Dynasty (828). He learned how to control his mind from the JiJang Monk Bodhisattva and founded a SilSang Temple. Hongcheok Monk would be a just person who is living in the world before Monk. And it would turned to monk for some reasons. Maybe it was because there was some sadness or pain of heart that he learned how to control my mind from JiJang Monk. I was assumed that Hongcheok had kept the pieces of the mind buried in the grounds of SilSang Temple and searched for them. I chose objects that are similar to the fragments of the mind, such as small stones, sattered tiles, sculptures, letters, and feathers that can be easily found. The mind is neither visible nor touched. But it has always exists, it can burn away, but it is clear that it is still there. It can not be burned, but it is always in people. These can be replaced by a piece of mind or bond. It is a small struggling call to burn that everyone has but can not reveal.

환상계단 Illusion Stair, Artist Statement

환상계단 작업은 실존하지 않는 대상을, 물성을 가진 오브젝트로 치환시키는 과정에 방점이 있다. 사진 매체를 이용하여 실존하지 않는 대상을 얇은 사진의 레이어위에 올려 놓는다. 물성으로서 사진이미지로 치환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얇은 레이어-사진에 대해 탐구한다. 사진으로 치환되는 대상들은 사진안에서 실존하지 않는 ‘영’이라는 존재들로 표현된다. 또한 북서울의 지역에서 진행한 일련의 퍼포먼스를 통해 추락과 상승하는 삶의 단면을 드러낸다.

In the case of a circular staircase work, there is room for replacing an object which is not existent with an object having physical properties. Use a photographic medium to place a non-existent object on a layer of thin photos. Investigate thin layer-photographs revealed in the process of replacing with photographic images as physical properties. The objects to be replaced with photographs are expressed as 'spirit' beings that do not exist in the photograph. In addition, a series of performances in the area of North Seoul reveals the falling and rising aspects of life.

우리는 미래에도 돌위에서 살 것인가 Do we live on the ground in the future?, Artist Statement

미래는 어디서 찾아야하는가? 미래는 여전히 미지의 것들로 덮혀 있으며,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 짐작할 수 있을 뿐이다. 인간의 노동은 돌을 통한 노동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단단하고 무겁고 거칠고 상처입히는 돌을 통한 근본적인 노동은 동시대에도 유효하다. 동시대에도 인간 노동의 근본은 바뀐것이 없으며, 오히려 무한함으로 예견된 미래로만 나아간다. 미래는 유연하고 부드럽고 상처입히지 않으며, 가볍고 손쉬운 연결같은 무저항의 환경같은 것으로 통용된다. 또한 동시대의 인간은 가상의 웹 환경에 접속하고 개인의 삶을 통째로 업로드하며 지속적으로 상호 유기적으로 소통을 한다. 땅위에 발을 딛고 가상의 세계에서 확장된 활동을 이어가고, 다시 현실로 돌아와 알수없는 미래를 향한 활동을 지속한다.

이 작업에서는 사진매체를 이용해 노동과 미래에 대한 지점을 들여다 본다. 사진으로 박제되어 사라진 돌의 물성과 돌이 박제된 사진의 물성을 함께 결부시켜 시각적 언어로 보여준다. 또한 접속가능한 가상의 인터페이스, 웹환경을 하나의 공간으로 치환하고, 이를 작업의 이미지들과 자료들로 채워나간다. 돌의 무거운 물성을 가벼운 사진속으로 옮겨오고, 돌을 통한 노동의 의미를 제시하는 동시에 미래를 향한 노동의 다양한 충돌지점을 드러낸다.

Where should we look for the future? The future is still covered with unknowns and can only be guessed as if it touches elephant as the blind. Human labor has started from stones, it had been continued still. Fundamental labor through solid, heavy, rough and wounded stones is valid for contemporaries. Even at the now, the basic nature of human labor has not changed but the world is going to the future that predicted by infinite. The future is flexible, smooth and unbreakable, and is commonly used as a non-resistive environment, such as lightweight and easy to connect. In addition, contemporary humans connect to a virtual web environment, upload an entire life of the individual, and continuous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organically. On foot, we continue to expand our activities in the virtual world, and then return to reality. We had continued our activities toward the future.

In this work, I had looked up the point of labor and the future by use photographic as medium. It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of stones that are stuffed with photograph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tained photographs together in a visual language. It also replaces the accessible virtual interface and web environment to a single space. Then the space would filled up images and materials of work. I would present moving the heavy physical properties of the stone into light photographs, presenting the meaning of labor through the stone, and I will revealing the various points of collision of labor toward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