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ngho Jeong
Monologue Protest

상식/비상식 경쟁: 생각의 유통 경로로서의 집회

특정 상식은 특정 시대에만 유효하다. 특정짓기 어려운 어떤 시점에 과거의 상식들이 비상식으로 간주되기 시작한다. 거시적인 역사의 관점에서 상식의 범주는 역동적인 궤적을 남긴다. 과거의 상식을 현재의 비상식으로 추동하는 역학을 해체하면 현재의 비상식으로 미래의 상식을 상상할 수 있다. 상식과 비상식 사이에서 판단되지 못한 상들을 생각이라 부른다. 발현된 생각들은 판단과 경쟁의 장에서 시험된다. 어떤 국가의 공론장은 어떤 생각들을 상식으로 분류하고, 내재화하여 규범화한다. 어떤 국가의 공론장은 어떤 생각들을 비상식으로 분류, 터부시한다. 특정 사회가 지니는 시대적 조건, 기술적 조건, 문화적 조건들은 각 문항의 시험지가 된다.

집회의 주장만 남기고 맥락을 제거하기

독백집회 시리즈는 오프라인 공간에서 생각이 유통되는 경로인 집회 현장 속 구호들의 보편적 유효성을 검증하는 시도이다. 대규모의 집회 혹은 시위는 어떤 큰 자국을 남기기 위한 시도이다. 구호의 실현 여부를 떠나, 집회 현장은 가장 최신의 혹은 미완성의 생각들이 시험대에 오르는 물리적 장소이다. 특정 시대의 생각은 한정된 환경에서만 유효하게 작동한다. ‘집회’라는 통합적 환경에서 집회가 이루어지는 장소와 참여자들의 성별/세대/인종/외모/목소리를 분리시켜 주장만을 여과해내고 고립된 환경에 위치시킨다. 이를 통해 주장이 가지는 시대적 유효성/한계성을 검토하고 사회의 환경과 맞물리는 생각의 시대의존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Common sense v. uncommon sense: Protests as the voice of the thoughts

Some common sense is only valid for some eras, with common sense of the past unwittingly becoming uncommon sense at indefinable moments. History tells us that common sense tends to leave an indelible trace across a wide spectrum of life. One can therefore predict common sense of the future by unraveling the dynamics behind the shift from common sense of the past to uncommon sense of the present. The unexplainable sense between common and uncommon senses is defined as “thoughts” that, when expressed vocally, are put to the test for judgment and competition. Whereas some countries classify, internalize and institutionalize certain thoughts as common sense upon test in the public realm, others reject them as uncommon sense and taboos. The thoughts are assessed against the criteria of the time, technology and culture inherent to a specific society.    

Taking protest messages out of context

The Monologue Protest series is an attempt to validate the universal effectiveness of protest slogans that find power in physical space. Large-scale assemblies and protests aim to leave a profound mark in society. Protest sites serve as the physical place where the latest or incomplete thoughts are put to the test, regardless of whether the slogans are turned into reality or not. The thoughts of certain times are only valid within limited context. The gender, generation, race, look and voice of the protesters and the protest locations are taken to pieces to separate a part—message, from the whole—protest, and isolate the message. This seeks to examine the validity and limitation of such messages with respect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reveal the time-dependency of thoughts that mirror the general social views.

Lightless Photography

기계와 유령

디지털 카메라 센서의 자체적인 노이즈는 이미징 메커니즘 성질의 기본값이다. 이는 빛이 없는 상태에서도 사진 이미지를 생성하는 결과를 낳는다. 몇시간 동안 암흑 상태를 향해 열려 있는 셔터가 남기는 사진은 신호로서의 사진을 상기시킨다. 기록된 노이즈는 피사체를 촬영한 사진이 아니라 사진을 촬영한 사진이 된다. 동시대 사진이 속성을 드러내는 방식은 신호 메커니즘을 바탕으로 하는 픽셀의 가소성으로, 물질 사진과 대비된다. 화학적 과정의 필름 사진에서 파라미터 값은 전자적 과정의 디지털 사진에 반비례한다. 상을 확대할 때, 필름 사진은 입자를 드러내고 디지털 사진은 입자를 감춘다. 필름 사진의 유령은 메커니즘 밖에, 디지털 사진의 유령은 메커니즘 안에 존재한다. 거친 노이즈 사진이 용량을 더해가며 증폭되면 해상도가 높은 흐릿한 이미지가 생산된다. 픽셀의 이진법은 벡터값으로 둔갑해 균질한 사진을 외양을 갖는다. 이 때, 사진과 이미지의 교집합과 합집합은 일치한다. 화학적 사진과 전자적 사진, 벡터와 비트맵, 사진과 이미지 사이의 경계없는 환경에서 동시대의 바라봄이 존재한다.

Machines and ghosts

The sensor noise produced by digital cameras is a default property of the imaging mechanism, which allows for the formation of images even in the absence of light. The shutter, which stays open for hours in pitch darkness, serves as a reminder of signal-like photographs. Now, all the generated noise turn into photographs of photographs, not photographs of objects. Contemporary photography stands in contrast to analog photography in that all images made up of pixels are digitized. The camera intrinsic parameters used during capture differs between film-based photography and digital photography in that the former involves chemical reactions while the latter relies on digital processes. Meanwhile, whereas magnified images make the grain more pronounced in photographic film, this is nowhere present in digital photography. The ghosts of film and digital photography hence inhabit outside and inside the imaging mechanism respectively. When greatly enlarged and amplified, the gritty noise produces a high-resolution, yet blurry image. Binary numbers that represent pixels are converted into vector values to take the form of the sharpest photography, leading the union and intersection of the photograph and image set to correspond. Contemporary views can truly go mainstream where the lines between chemical and electronic photographs, vectors and bitmaps, and photographs and images are blurred.

Unphotographable Cases

기술이 창조한 생각: 기술 업데이트와 생각 업데이트의 역학

천문학이 망원경에 관한 학문이 아닌 것처럼 컴퓨터 과학은 더 이상 컴퓨터에 관한 학문이 아니다. -E.W.다익스트라 오늘날 사회의 상부구조를 결정 짓는 강력한 하부 구조는 경제보다는 기술이다. 본질적으로 축적적 성취를 증명하는 기술은 시간의 축을 따라 기하급수적 영향력을 증대시킨다. 시간의 편에 선 기술의 하부구조의 업데이트는 상부구조의 업데이트를 추동한다. 상부 구조의 문화, 관념 등의 상식들은 과거의 패러다임과의 결별을 촉구한다. 과거의 생각이 빠르게 과거로 귀환하고 현재의 생각은 과거에 편입되며 미래의 생각은 현재를 설득한다. 미디어 기술은 소통 환경을 극적으로 조성한다. 오늘날 공론장은 오프라인에서 존재하지 않으며 완벽하게 온라인 공간으로 편입됐다. 온라인 커뮤니티, 인플루언서,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채널은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사상과 의견을 유통시킨다. 디지털 여론장은 가장 뜨거운 생각 경쟁의 장으로 현존한다. 가상 세계의 여론이 실제 세계의 여론을 지배한다. 디지털 플랫폼에 존재하지 않는 여론은 실제 세계에도 존재하지 않는 목소리로 취급된다. 공간을 극복하는 사용자 기반 소통 환경은 국소적으로 해체됐던 미약한 신념 집단조차 가상 공간에서 집결시킨다. 뉴미디어 환경이 소수 의견의 휘발을 방지하면서 공론장은 재구성된다. 소통의 효율과 양의 증가가 생각의 집결과 경쟁을 고양시킨다.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메시지가 된다.

가상 공간의 생각과 사건 촬영하기

공론장이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모함에 따라 일상의 논쟁과 격동은 온라인으로 이주하였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역할을 분담하면서 진실의 위치는 오히려 가상 공간으로 역전되었다. 역설적으로 뜨거운 불편함은 익명성을 전제로 가능한 온라인 공간에 정착한다. 익명 기반의 온라인 디지털 플랫폼은 전례없는 눈과 귀의 공론장을 형성하는데, 공간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로 구조화된다. 새로운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는 여론과 정보가 흐르는 경로를 선별/배포하는 과정을 결정하는데 늘 성공적이지 않다. 소수의견과 가짜뉴스의 경계는 흐릿해지고 정보와 선동 사이의 정교한 분류를 요구한다. 소프트웨어의 아키텍처를 개선하려는 노력과 함께 알고리즘을 이용하려는 세력도 존재한다. 비사진적 사례들 시리즈는 생각이 유통되는 온라인 공간의 신호활동을 물리적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신호로서만 존재하는 여론과 정보의 무형성 데이터를 가공하여 3D 프린트하여 사진으로 촬영 가능한 형태로 환원한다. 특정 키워드의 관심도와 검색 빈도는 독해 불가능한 형태로 조작되고 형식적 개연성을 잃은 물리적 증거물이 된다. 손으로 만져지는 증거물은 다시 스크린 속 그래픽 이미지의 외양을 쫓는다. 말할 수 있는 것은 일상의 표면에서 은퇴한 진실의 자국과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소통 앞에 놓인 사진의 불가능성이다.

Technology-initiated thoughts: The dynamics of evolution between technology and thoughts

Computer science is no more about computers than astronomy is about telescopes. -Edsger Wybe Dijkstra Technology is the robust sub-structure that supports the superstructure of the modern society – more so than the economy. Technology, which intrinsically builds on past accomplishments, creates exponential impact in the course of time. As technological progress speeds up over time, the evolution of the sub-structure spurs the co-evolution of the superstructure. Common sense, including the culture and concepts of the superstructure, demands that we let go of the conventional paradigm. Now, thoughts of the past quickly return to the past, thoughts of the present blend into the past, and thoughts of the future convince the present of what is to come. Media technology develops a plethora of avenues of communication. The public sphere has completely moved online, with online communities, influencers, Twitter, Facebook, and YouTube all leveraging digital platforms to diffuse ideas and beliefs. The digital public sphere has become the most vibrant platform for intense public debate. Now, public opinion in cyberspace not only prevails over that in physical space, but also dictates the rules. As a result, views unavailable on the virtual platform are treated as totally nonexistent. The user-driven online communication platforms that transcend space also have the power to bring together even the most distant groups of people who have slowly drifted away. As the new media environment encourages the minority opinions to be heard, the public sphere is re-formed. Efficient and vibrant communication gives new impetus to the process by which thoughts converge and diverge, and leads to the emergence of the software architecture as the message.

A photographic record of virtual thoughts and events

As the public sphere makes the transition from physical to virtual, the everyday debates and altercations have also moved online. With offline and online platforms each perform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truth has found a new place in cyberspace. Paradoxically, the virtual space is now where the most inconvenient stories dwell, as anonymity is protected on the internet. This led to the rise of an extraordinary online public sphere that brings together different views and voices. The space, which runs on a software architecture, is yet to be fully successful in selecting and distributing the channels through which information and public opinion flow. The lines between minority views and fake news are blurred, and a precise line needs to be drawn to set information apart from instigation. Two opposing forces are also at work, with one striving to improve the software architecture and the other exploiting the algorithm. The Unphotographable Cases series attempts to physically capture the signals in the virtual space where thoughts travel. The public opinion, which only exists in the form of signals, is processed and 3D printed with information as formless data to render images that can be photographed. The popularity and search frequency of specific keywords are encoded into an unreadable form, only to serve as physical evidence that no longer belongs in a particular form. The tangible evidence now chases the unchaseable—the visual elements of the graphic images. What can be detected at all are some faint traces of the long-gone truth and the unphotographable layers of digital communication.

Face Shopping

기술의 돌기seam 드러내기

AI가 생성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인물 사진은 스크린에서 놀라운 실감을 드러낸다. 사진 스톡 사이트에서는 수만 가지의 인물 사진을 제공하는데 외모 선택사항이 매우 다양하다. 얼굴 포즈, 성별, 나이, 인종, 눈동자 색상, 머리카락 색상, 머리카락 길이, 감정 표현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사이트의 2,685,868 장의 인물 사진 중에는 각각의 선택사항이 적용됨에도 불구하고 모호한 경계의 사진을 찾을 수 있다. 미소와 무표정 사이, 남성과 여성 사이, 타인과 형제 사이. 스톡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사진은 이미 수많은 사진 광고에 활용되고 있고 나아가 딥페이크 기술의 접목을 통해 방송 영상업에도 주목되는 기술로 떠오르고 있다. 불쾌한 골짜기가 과거로 소멸되면서, Seamless 테크놀로지의 seam을 드러내는 유일한 방법은 장치를 드러내는 전략이다. 소프트웨어로 구축된 빅데이터와 하드웨어의 컴퓨팅 파워가 생성한 결과물을 네트워크로 수신받는다. 최종 수신지로서의 개인 유저의 디바이스는 마지막 구현 output 장치가 된다. 스마트폰에 나타난 인물 사진들을 크게 접사 촬영은 그들의 피부가 빨강, 초록, 파랑으로 드러나고 있음을 새삼 귓속말 해준다. 이어지는 귓속말은 또 다른 가능성을 들려준다. 포토 스톡 사이트가 생물학적 아기의 외모, 성향을 결정짓는 미래의 출산 상담 소프트웨어를 닮았다는 가능성. 귓속말은 이어진다.

Exposing the seam

AI-created portraits of virtual persons are stunningly realistic. Tens of thousands of portraits are available on stock photography sites where images can be searched and filtered by lists of keywords such as face position, gender, age, race, eye color, hair color, hair length and emotion. Despite the many search filters, boundary ambiguity is still present in a number of photos out of the 2,685,868 portraits: portraits that sit somewhere between smile and no emotion, men and women, strangers and family. Photos available on these sites are already used in a great many of ads and increasingly spotted across the visual media industry with deepfakes evolving into an enabling technology. With the uncanny valley becoming a thing of the past, the only way to expose the seam of the seamless technology is to lay bare the device. The output generated by a combination of big data built on software and computing power of the hardware is received over a network, flowing toward its final destination—individual users’ device that provides the output. Close-up macro shots of portraits on smartphones gently allude to the red, green and blue colors of the skin. The photos further allude to another possibility, the possibility of the stock photography sites bearing a strong resemblance to future birth counseling software that determines babies’ appearance and personality. In soft murmurs, the allusions continue.

풍화 The Weathering, Artist Statement

사람들은 사진 속의 기록된 이미지를 바라보며 그 장면을 자신의 ‘기억’이라고 말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었다. 심지어 나조차도 어떤 장소나, 순간을 기억하기 위해 사진을 찍어대곤 한다. 사진 속의 선명하고, 명료한 이미지의 힘은 내가 기억하고 있는 모습과 순간들도 선명할 것이라고 착각하게 만든다. 나에게 인상깊었던 장소들에서 작업을 하면서 느꼈던 내가 아예 인식하지 못했던 것들, 그 자리에 존재했지만 나는 볼 수 없었던 것들에 대해서 많은 고민을 했었다. 기억은 머리 속에 입력되는 순간부터 끊임없이 그 모습이 변한다. 그것이 점점 지워져 사라지는 것이든, 다른 기억들과 점점 뒤섞여 새로운 것이 생겨나든 사진처럼 명료한 이미지는 아닐 것이다. 불완전한 기억이미지는 사진과 마주하는 동시에 어느 정도 지워진 부분이 채워지기도 하지만, 그것도 순간일 뿐이다. 우리의 기억은 끊임없이 무너지고, 부숴지고, 지워지며, 사라진다.

Picture is the record of past things or disappeared things. People say that pictures are their memories. Even myself, I take pictures to remember some places and the moments. The power of image makes me think my memories will be as clear as the pictures. I thought about the things that I couldn't even recognize when I was working in special places, and the existing ones that I could not see.

And I asked myself that those pictures can surely replace all the memories. I believe that memories change as soon as they are put in our brains. Whether it is faded and disappeared or created by mixing up with different memories, it can't be a clear image as a picture. Unsettled memories can be filled up a bit with the pictures but it's only for a little moment. Our memories are keep draining, breaking, expiring, and disappearing.